wsl2 가 나온 지 벌써 몇 년이 지났네요. 지금은 많이 자리를 잡고 안정적인 듯하여 설치 방법을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1. 호환 버전 확인하기
-
윈도우 키 + r --> 실행창에서 winver 입력
-
버전 1903 이상 혹은 빌드 버전 18362 이상이면 가능합니다.
2. windows subsystem for linux 기능 켜기
-
먼저 powershell 을 관리자 모드로 실행합니다. (윈도우 키 + x --> powershell 관리자모드로 실행(A))
-
powershell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3. 가상머신 플랫폼 기능 켜기
-
powershell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4. 리눅스 커널 설치
-
그리고 재부팅 한 번 해줍니다 꼭 해주세요. 그래야 다음 과정이 진행됩니다.
-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여기 링크에서 리눅스 커널 최신 버전으로 받아서 설치해주세요!
5. 리눅스 설치
-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linux를 검색해서 원하는 distros를 받아줍니다. 저는 우분투로 했습니다.
-
설치를 누르면 로그인하라는 창이 나올 텐데 로그인 안 하시고 닫기 누르셔도 다운로드됩니다.
-
스토어에서 받고 끝난 것이 아니라 실행해주면 초기 설정 및 설치를 진행합니다.
-
그러고 나서 wsl 용 계정과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세요. 윈도우와 다르게 비밀번호에서 ****와 같은 표시가 나오지 않으나 입력되고 있으니 입력하시고 엔터 누르시면 됩니다.
6. wsl2를 기본으로 설정
-
아까처럼 powershell을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wsl --set-default-version 2
-
버전이 잘 바뀌었나 확인해봅니다. (다시 버전을 바꾸고 싶은 경우 위의 명령어에서 2 -> 1 으로만 바꿔주면 됩니다.)
wsl --list --verbose
이렇게 해서 설치를 모두 마쳤고 cli 기반의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만 해도 얼마나 편리한지 이제 듀얼부팅에서 벗어 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는 여기 정리가 돼있으니 참고해주세요!
TOP 20 터미널 기본 명령어 1탄 (예시와 상세한 설명)
아무것도 없는 깜깜한 터미널입니다. 저는 전공자도 아니고 취미로 이것저것 하다 보니 터미널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처음 접했을 때 이 깜깜한 터미널처럼 정말 막막하고 어떻게 해야
hoodiejun.tistory.com
다음에는 조금 더 이쁘게 사용할 수 있도록 windows terminal 설치와 fish shell 설치, 그리고 테마 적용하는 법까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의 git 서버 만들기 (100% private 모드) (0) | 2021.03.25 |
---|---|
wsl2 에서 GUI 프로그램 실행하기 (0) | 2021.03.15 |
초기 ssh 세팅하기 - putty는 이제 그만! 파워쉘에서 바로 접속하자 (키생성, config) (0) | 2021.03.07 |
원하지 않는 부팅메뉴 삭제하기 - efibootmgr (리눅스) (0) | 2021.03.06 |
TOP 20 터미널 기본 명령어 2탄 (예시와 상세한 설명) (0) | 2021.02.04 |